2020. 12. 11. 18:00 일상 꿀팁
퇴사 후 국민연금 임의가입
4대보험은 다들 아시다시피 국민연금/건강/고용/산재 보험이 있다.
퇴사를 하게 되면 사업장에서 퇴사처리와 4대보험 자격상실신고를 한다.
월급에서 알아서 빠져나가서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
아! 관심은 있었다! 많이도 빼가네.. 정도로..
퇴사 후 내 주머니에서 나가야하는 보험료 어떻게 해야하는지 차근차근 알아보았다.
국민연금은 찾아보니 만 60세 전에 퇴사했다면 사업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된다.
소득이 없어 보험료 납부가 어려울 때는 납부예외를 신청할 수 있다.
(물론, 나중에 받게 될 연금에서 납부예외기간때문에 줄어들 수 있다.)
국민연금은 가입기간이 길수록 유리하기때문에 임의가입을 신청했다.
임의가입을 신청하면 소득금액을 최소 100만원부터 입력할 수 있고,
기준소득월액의 9%를 월보험료로 내게된다. 즉, 100만원 입력 시 한달에 9만원씩 지불!
신청은 아래 링크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에서 할 수 있다.
https://minwon.nps.or.kr/jsppage/minwon.jsp
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
무엇을 도와드릴까요? 국민연금 민원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처리해 드립니다. 개인인증 사업장인증 전자민원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시려면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. 국민연금 콜센터 1355 -->
minwon.nps.or.kr

신청을 하고나서 국민연금공단 지역지사에서 전화 및 안내문자가 왔다.
홈페이지 신청 건 처리가 완료되었고, 자동이체를 희망할 경우 건강보험공단(1577-1000)으로 신청해달라고 한다.
첫 날은 아직 신청 완료 건이 넘어오지 않았다고 하여 다음 날 다시 전화를 해보았다.
다음 날 부터 통화가 너무 안된다.. 모든 상담중이 통화중이고, 대기 몇십명..
첫날에도 어렵게 통화했는데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통화가 안되길래 다시 검색 찬스!
방문/FAX/전화/모바일앱 등 으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한다.
코로나 시대에 방문은 무슨.. 바로 건강보험 앱을 설치하였다.

개인은 회원가입이 필요없고 공동인증서만 등록하면 된다.

앱 메인화면 우측 상단 신청에서 간단히 신청할 수 있다.

자동이체 서비스 제공 시간은 평일 9시부터 22시까지 라고하네요.
이렇게 국민연금 임의가입 신청 및 자동이체 신청까지 완료했습니다.
도움되셨길 바랍니다.^^
'일상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폰 수명 (iphone 6S - 5년 사용기) (1) | 2020.12.22 |
---|---|
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신청하기 (0) | 2020.12.13 |
신용등급 올리기 (신용점수 1000점 만들기) (0) | 2020.12.09 |
라피네르 차량용방향제 (블랙체리향) (0) | 2020.12.08 |
김장 김치 만들기 (0) | 2020.1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