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4대보험은 다들 아시다시피 국민연금/건강/고용/산재 보험이 있다.

퇴사를 하게 되면 사업장에서 퇴사처리와 4대보험 자격상실신고를 한다.

월급에서 알아서 빠져나가서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

아! 관심은 있었다! 많이도 빼가네.. 정도로..

퇴사 후 내 주머니에서 나가야하는 보험료 어떻게 해야하는지 차근차근 알아보았다.

 

국민연금은 찾아보니 만 60세 전에 퇴사했다면 사업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된다.

소득이 없어 보험료 납부가 어려울 때는 납부예외를 신청할 수 있다.

(물론, 나중에 받게 될 연금에서 납부예외기간때문에 줄어들 수 있다.)

 

국민연금은 가입기간이 길수록 유리하기때문에 임의가입을 신청했다.

임의가입을 신청하면 소득금액을 최소 100만원부터 입력할 수 있고,

기준소득월액의 9%를 월보험료로 내게된다. 즉, 100만원 입력 시 한달에 9만원씩 지불!

 

신청은 아래 링크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에서 할 수 있다.

https://minwon.nps.or.kr/jsppage/minwon.jsp

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

무엇을 도와드릴까요? 국민연금 민원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처리해 드립니다. 개인인증 사업장인증 전자민원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시려면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. 국민연금 콜센터 1355 -->

minwon.nps.or.kr

 

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 임의가입 신청

 

신청을 하고나서 국민연금공단 지역지사에서 전화 및 안내문자가 왔다.

홈페이지 신청 건 처리가 완료되었고, 자동이체를 희망할 경우 건강보험공단(1577-1000)으로 신청해달라고 한다.

첫 날은 아직 신청 완료 건이 넘어오지 않았다고 하여 다음 날 다시 전화를 해보았다.

다음 날 부터 통화가 너무 안된다.. 모든 상담중이 통화중이고, 대기 몇십명..

 

첫날에도 어렵게 통화했는데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통화가 안되길래 다시 검색 찬스!

방문/FAX/전화/모바일앱 등 으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한다.

코로나 시대에 방문은 무슨.. 바로 건강보험 앱을 설치하였다.

 

건강보험앱

 

개인은 회원가입이 필요없고 공동인증서만 등록하면 된다.

 

 

국민건강보험 앱 메인화면

 

앱 메인화면 우측 상단 신청에서 간단히 신청할 수 있다.

 

 

 

자동이체 서비스 제공 시간평일 9시부터 22시까지 라고하네요.

이렇게 국민연금 임의가입 신청 및 자동이체 신청까지 완료했습니다.

도움되셨길 바랍니다.^^

 

 

728x90
Posted by 공뇽기

블로그 이미지
지친 일상에서 잠시 쉬어가는 공간입니다! 저의 취미를 공유하고 일상 꿀팁 정보도 전달할게요^^
공뇽기

공지사항

Yesterday
Today
Total

달력

 « |  » 2025.4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글 보관함